대학수학능력시험과 독서량의 관계
수능 국어영역에서는 주로 아래의 능력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
- 언어 이해력: 한국어 문장과 문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. 이는 단순히 단어의 의미를 알아내는 것 뿐만 아니라, 문장 구조, 관용 표현, 비유적 표현 등 복잡한 언어 형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포함합니다.
- 비판적 사고력: 제시된 정보나 주장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. 예를 들면, 작성자의 주장이 타당한지, 어떤 근거로 지지되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.
- 글쓰기 및 표현능력: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글쓰기와 표현능력도 중요합니다. 이는 문법과 맟춤법뿐만 아니라 좋은 글스기 스타일과 구조에 대한 이해도 포함됩니다.
- 독서 경험 및 배경 지식: 다양한 장르와 유형의 문헌들에 대한 독서 경험과 그로 인해 축적된 배경 지식 역시 중요합니다.
- 정보활용능력: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고 활용하여 새로운 결론이나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도 요구됩니다.
독서량이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미치는 영향
대학수학능력시험에는 국어, 수학, 영어 등 여러 과목이 지식을 평가하는데, 독서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.
- 어휘력 및 문장 이해력 향상: 먼저 책을 많이 읽으면 어휘력이 향상되고 다양한 문장 구조에 익숙해집니다. 이는 국어와 영어 과목에서 문장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- 지식확장: 다양한 주제의 책을 읽음으로써 일반 상식, 사회적 이슈, 역사적 사건 등에 대한 지식을 넓혀갈 수 있습니다. 이런 정보들은 지문 해석 능력뿐만 아니라 일반 상식 시험이나 글쓰기 시험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
- 비판적 사고력 개발: 좋은 책을 많이 읽으면 주변 세계를 바라보는 여러가지 가치관을 비교하고 분석하게 되고,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데 도움이 됩니다.
- 집중력 향상: 긴 글을 읽으며 내용을 파악하려면 집중력이 필요한데 독서는 이런 집중력을 기르는 좋은 방법이 됩니다.
- 스트레스 해소: 수능 준비 과정은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는 기간일 수 있습니다. 즐겨하는 책들로 잠시나마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해소를 할 수 있습니다.
무엇보다도 독서는 내용을 이해하고 추리하는 독해를 기반으로 한 독서가 될 때 독자의 지식을 넓혀 주고 마음을 다듬고 추스르는 독서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. 그러므로 독서 자료는 논리 중심의 설명문, 논설문과 함께 정서 중심의 문예문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며, 동시에 독서 습관 형성은 입시의 문턱인 고등학교에 와서 할 것이 아니라 취학 전부터 초,중학교 시절동안 완전한 습관화가 되어야 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문제 해결력이 길러질 것이다.